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자바코드를 예로 들어 "트랜잭션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해하고 넘어가자


트랜잭션 (Transaction)

갑자기 "트랜잭션"이라는것이 나와서 뜬금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트랜잭션과 예외처리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트랜잭션과 예외처리가 서로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트랜잭션은 하나의 작업 단위를 뜻한다.

쇼핑몰의 "상품발송"이라는 트랜잭션을 가정 해 보자.

"상품발송"이라는 트랜잭션에는 다음과 같은 작업들이 있을 수 있다.

  • 포장
  • 영수증발행
  • 발송

이 3가지 일들 중 하나라도 실패하면 3가지 모두 취소하고 "상품발송"전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 것이다. (모두 취소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정합성이 크게 흔들리게 된다. 이렇게 모두 취소하는 행위를 보통 전문용어로 롤백(Rollback)이라고 말한다.)

프로그램이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 있다고 가정 해 보자. (※ 아래는 실제 코드가 아니라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간략하게 표현한 pseudo 코드1이다.)

상품발송() {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
}

포장() {
   ...
}

영수증발행() {
   ...
}

발송() {
   ...
}

쇼핑몰 운영자는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이라는 세가지 중 1가지라도 실패하면 모두 취소하고 싶어한다. 이런경우 어떻게 예외처리를 하는 것이 좋겠는가? ^^

다음과 같이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 메서드에서는 예외를 throw하고 상품발송 메서드에서 throw된 예외를 처리하여 모두 취소하는 것이 완벽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이다.

상품발송() {
    try {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
    }catch(예외) {
       모두취소();
    }
}

포장() throws 예외 {
   ...
}

영수증발행() throws 예외 {
   ...
}

발송() throws 예외 {
   ...
}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이라는 세개의 단위작업 중 하나라도 실패할 경우 "예외"가 발생되어 상품발송이 모두 취소 될 것이다.

만약 위 처럼 "상품발송" 메서드가 아닌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메소드에 각각 예외처리가 되어 있다고 가정 해 보자.

상품발송() {
    포장();
    영수증발행();
    발송();
}

포장(){
    try {
       ...
    }catch(예외) {
       포장취소();
    }
}

영수증발행() {
    try {
       ...
    }catch(예외) {
       영수증발행취소();
    }
}

발송() {
    try {
       ...
    }catch(예외) {
       발송취소();
    }
}

이렇게 각각의 메소드에 예외가 처리되어 있다면 포장은 되었는데 발송은 안되고 포장도 안되었는데 발송이 되고 이런 뒤죽박죽의 상황이 연출될 것이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두번째 경우처럼 트랜잭션관리를 잘못하여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는데 이것은 일종의 재앙에 가깝다.

이번 챕터에서는 자바의 예외처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예외처리는 자바에서 좀 난이도가 있는 부분에 속한다.

보통 프로그래머의 실력을 평가 할 때 이 예외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보면 그 사람의 실력을 어느정도 가늠해 볼 수 있다고들 말한다. 예외처리는 부분만 알아서는 안되고 전체를 관통하여 모두 알아야만 정확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말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과는 달라보이지만, 트랜잭션이라는 단어에 아주 적합하게 설명하고있다.

아래 링크로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에대해 한번 더 이해하면 완벽하다.


http://mommoo.tistory.com/62

'STUDY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Oracle SQL 튜닝 및 응용 - 2  (0) 2019.10.29
[DB] Oracle SQL 튜닝 및 응용 - 1  (0) 2019.10.28
[DB] View란?  (0) 2019.01.02
[DB] SQL학습 사이트  (0) 2019.01.02
[DB]SQL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  (0) 2018.10.10

싱글톤 패턴 (singleton pattern)

디자인 패턴중 하나인 싱글톤에 대해서 알아보자. 여러분은 static 에 대한 개념이 생겼기 때문에 싱글톤을 이해하는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싱글톤은 단 하나의 객체만을 생성하게 강제하는 패턴이다. 즉 클래스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객체는 Only One, 즉 한 개만 되도록 만드는 것이 싱글톤이다.

다음의 예를 보자.

SingletonTest.java

class Singleton {
    private Singleton() {
    }
}

public class Singleton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ingleton singleton = new Singleton();
    }
}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Singleton 클래스의 생성자에 private 키워드로 외부 클래스에서 Singleton 클래스의 생성자로의 접근을 막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성자를 private 으로 만들어 버리면 외부 클래스에서 Singleton 클래스를 new 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없게 된다.

new를 이용하여 무수히 많은 객체를 생성한다면 싱글톤의 정의에 어긋나지 않겠는가? 그래서 일단 new로 객체를 생성할 수 없도록 막은 것이다.

그렇다면 Singletone 클래스의 객체는 어떻게 생성할 수 있을까? 다음처럼 코드를 작성 해 보자.

class Singleton {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new Singleton();
    }
}

public class Singleton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ingleton singleton = Singleton.getInstance();
    }
}

위와 같이 코드를 변경하면 이제 getInstance라는 static 메소드를 이용하여 Singleton 객체를 돌려 받을 수 있다. 하지만 getInstance를 호출 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게 된다. 그렇다면 싱글톤이 아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처럼 코드를 작성해 보자.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one;
    private Singleton() {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one==null) {
            one = new Singleton();
        }
        return one;
    }
}

public class Singleton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ingleton singleton1 = Singleton.getInstance();
        Singleton singleton2 = Singleton.getInstance();
        System.out.println(singleton1 == singleton2);
    }
}

Singleton 클래스에 one 이라는 static 변수를 두고 getInstance 메소드에서 one 값이 null 인 경우에만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여 one 객체가 단 한번만 만들어지도록 했다.

getInstance 메소드의 동작원리를 살펴보자.

최초 getInstance가 호출 되면 one이 null이므로 new에 의해서 객체가 생성이 된다. 이렇게 한번 생성이 되면 one은 static 변수이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null이 아니게 된다. 그런 후에 다시 getInstance 메소드가 호출되면 이제 one은 null이 아니므로 이미 만들어진 싱글톤 객체인 one을 항상 리턴하게 된다.

main 메소드에서 getInstance를 두번 호출하여 각각 얻은 객체가 같은 객체인지 조사 해 보았다. 역시 예상대로 "true"가 출력되어 같은 객체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은 static에 대한 이해만 있다면 참 알기쉬운 패턴 중 하나이다.


https://wikidocs.net/228

Inner 클래스와 Outer 클래스
– 다른 클래스 내부에 삽입된 클래스
– 외부 클래스를 Outer 클래스 내부 클래스를 Inner 클래스라고 한다.
– Outer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된 후에 Inner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하다.
– Out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기반으로 Inner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 o1 = new Outer("o1");
Outer o2 = new Outer("o2");
Outer.Inner oi1 = o1.new Inner(); // 외부 참조방법
Outer.Inner oi2 = o2.new Inner(); // Outer 의 참조변수를 기반으로 Inner의 인스턴스를 생성
// Inner의 인스턴스는 Outer의 인스턴스에 종속적이다.
}
}
 
class Outer{
private String name;
public Out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void print(){
System.out.println(name);
}
class Inner{
Inner(){
print();  // Outer 클래스의 메소드 직접접근 가능
}
}
}


Nested 클래스
– Inner 클래스에 static 키워드가 선언된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 o = new Outer();
Outer.Nested on = new Outer.Nested(); // 외부 참조방법
on.print();
}
}
 
class Outer{
 
Outer(){
Nested n = new Nested(); // Outer 클래스에서 객체생성가능
n.print();
}
static class Nested{
public void print(){
System.out.println("nested");
}
}
}


Local 클래스
– 메소드 내에 정의된 클래스
– 메소드 내에서만 참조변수 선언이 가능하다


1
2
3
public interface Printable {
public void print();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 o = new Outer();
Printable p = o.create("print");   // 메소드 내에서만 참조변수 선언이 가능하다.
// 따라서 인터페이스 Printable 을 구현하도록 한후 리턴된 인스턴스를 Printable 참조변수로 참조한다.
p.print(); // Printable 의 print 메소드를 호출하면 오버라이딩에 의해서 Local 클래스의 print 메소드가 호출된다.
}
}
 
class Outer{
public Printable create(final String print){ // final 선언된 변수만 Local 클래스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class Local implements Printable{
@Override
public void print() {
System.out.println(print);
}
}
return new Local();
}
}


Anonymous 클래스
– 클래스의 이름이 정의되지 않은 클래스

–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리턴한다.


1
2
3
public interface Printable {
public void print();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Outer o = new Outer();
Printable p = o.create("print");  
p.print();
}
}
 
class Outer{
public Printable create(final String print){
return new Printable() {
@Override
public void print() { // Printable 에 정의된 미완성 메소드의 내부를 바로 채워준다면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 생성을 허용하는 java 문법  
System.out.println(print);
}
};
}
}


http://ccm3.net/archives/4679


http://jsnote.tistory.com/21

1. 접근제어자

- 접근제어자는 멤버 또는 클래스에 사용되어 해당하는 멤버 또는 클래스를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함

- 접근제어자는 생략가능하며 생략했을 때는 자동으로 default 임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default 일경우에는 접근제어자를 지정하지 않는다.

- 접근제어자가 사용될 수 있는 곳 : 클래스, 멤버변수, 메서드, 생성자

1)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2)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3) protected :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4) public : 접근 제한이 전혀 없다.


제어자 

같은 클래스

같은 패키지 

자손 클래스 

 전체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 접근 범위 : private < default < protected < public 순으로 보다 많은 접근을 허용한다



출처: http://88240.tistory.com/448 [shaking blog]

인터페이스추상 클래스
클래스가 아니다클래스다
클래스와 관련이 없다클래스와 관련이 있다
(주로 베이스 클래스로 사용)
한 개의 클래스에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다한 개의 클래스에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없다.
구현 객체의 같은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상속을 받아서 기능을 확장시키는 데 목적

좀 더 정리가 필요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추가적인 업로드 필요


http://loustler.io/languages/oop_interface_and_abstract_class/

+ Recent posts